다음블로거뉴스는 1인미디어 폭발적 성장을 견인
최근 국내에서 트위터와 페이스북의 성장세를 보면서 전체적인 소셜미디어의 사용이 확산되는 것은 환호하지만 안타까운 것이 있다.
바로 “다음뷰”다.
다음뷰는 “다음블로거뉴스”의 명칭을 변경한 것으로 1인미디어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견인하는 역할을 했다.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로 기사를 쓰거나 다음아고라나 여타 토론방에 글을 쓰고 조회수와 영향력을 확인하고 가슴뿌틋함을 느꼈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내가 만든 블로그에 글을 쓰면 그 글이 다음블로거뉴스에 송고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음메인에 기성언론과 나란히 걸릴 경우 대단한 영향력이 발휘되면서 새로운 언론 형태에 대해서 환호했다.
다음블로거뉴스를 다음뷰로 개편하면서의 취지도 “뉴스”라는 단어가 주는 어감을 약화시키고 다양한 시각에서 개인들이 만든 콘텐츠의 가치를 높이자는 취지에서의 명칭변경과 공간의 확대였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다음 메인의 뉴스 섹션에서 다음뷰가 빠지고 배치도 “유익한 정보검색” 아래 3단으로 내려갔다. 누가 보더라도 이것은 축소다.
아무리 트위터와 페이스북 사용자가 늘어나도 블로그는 블로그대로 상호 보완을 하면서 쓰임새가 커지고 있는데 다음뷰가 현재의 위치에서 홀대받을 이유가 없다.
지난해 11월7일 다음뷰 개편 당시 가입자가 15만명 전후로 기억하는데 현재 228,000여명으로 소셜미디어의 커다란 성장세를 볼 때 초라한 성적표 이다.
창고에서 낮잠자고 있는 다음뷰
전문적인 글을 쓰는 블로거의 비율은 1년 전과 비교할 수 없을만큼 늘어나서 메인을 차지하고 있는 뉴스 섹션보다 뛰어난 글들이 많다. 양과 질에서 뉴스 섹션보다 뛰어난 콘텐츠를 지금처럼 홀대를 계속할 이유가 무엇인가?
소수 기성언론의 영향력을 보존해 주겠다는 것인가?
정치권력의 눈치를 보고 있는가?
현 정부 초기 다음블로거뉴스와 아고라를 통해 형성된 촛불의 여론이 있었지만 그 여론은 결국에 트위터로 옮겨가면서 지방선거에 영향을 끼쳤다. 결국에 인터넷실명제를 포함한 인터넷규제가 외국서비스를 활성화하고 국내사업자를 역차별하는 결과를 만들어내고 있고, 여기에 다음뷰 같은 걸출한 서비스가 창고에서 낮잠을 자고있는 형국이다.
자연스레 형성될 수 있는 여론 형성의 장을 막으면 막을수록 다른 새로운 채널을 통해서 억압된 여론은 응축되어 나타난다는 것은 역사의 반복된 교훈이기도 하다.
'소셜미디어/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뷰를 제자리로 되돌리자 -3 다음 답변 반론 (3) | 2010.09.30 |
---|---|
다음뷰를 제자리로 되돌리자-2 (12) | 2010.09.28 |
다음뷰를 제자리로 되돌리자 -1 (13) | 2010.09.27 |
소셜미디어혁명 (2) | 2010.09.26 |
아이폰과 트위터가 기업권력을 넘어설 수 있을까? (9) | 2010.03.16 |
방송통신심의위의 올바른 역할 (1) | 2010.03.04 |
-
이명박정부 들어서면서 달라진건 사실. 2010.09.27 10:14
저도 달라졌다는걸 느꼈죠.
그래서 다음 탈퇴했습니다.
그래도 다음뷰에 블로거들이 올리는 뉴스와 사진들을 보기위해 다음뷰만 찾고 있습니다. -
무터킨더 2010.09.27 13:46
맞는 말씀하셨네요.
다음뷰는 블로거의 높아진 역량과
확대된 콘텐츠에 비해 홀대받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전적으로 찬성입니다.^^ -
-
전북의재발견 2010.09.27 15:25
그러게요. 이 글을 읽고 살펴보니.. 다음뷰는 세 칸 째이군요.
보통 뉴스들보다 다음뷰가 훨씬 생산적이고 콘텐츠도 확대되어 있는데... -
임현철 2010.10.01 03:27
사실 두 칸은 올려야 하는데...
요즘 다음이 깊이가 없어지고 대충대충 첫 화면에 올리는 이유도 이것 때문이지요.
기존에 잘나가는 블로거들 뒷전으로 말치고 세대교체 하는 것도....
결국 다음에선 컨덴츠 생산에서 밀려날 수 밖에 없을 거에요.
왜? 정권과 손을 잡아서겠죠?
요즘 첫 화면 얼마나 엉망인데요.
기존에 있던 사람이 쫓겨났거나, 아님 견디지 못했을 거에요.
돈 몇 푼에 팔리지 않는데 꼭 이런 시점에서 변화를 추구하더라고요.
사람을 어지간히 갖고 놀았으면...
내일이나 모래쯤 이런 글 올려야겠네요.